중국경기침체
-
이제 코로나 뒤에 숨어있던 중국의 맨 얼굴이 드러날까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2. 6. 10:08
다음 주에는 2022년의 마지막 FOMC 미팅이 있습니다. 다들 2022년의 달러 금리가 어떻게 마무리될지 귀추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아주 작은 관련 소식도 시장에 퍼지는 그 울림의 정도는 상당히 커 보입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주부터 코로나 관련 통제 정책을 아주 크게 완화할 모양입니다. 버스, 지하철 탈때마다 해야만 했던 PCR 검사 등을 이미 몇몇 대도시에서는 중단한 모양입니다. 이런 일련의 조치들로 인해 마치 중국이 죽었다가 살아나는 듯한 반응들을 보이는 세력들도 좀 있는 듯 한데…이제 부터가 정말 지옥문이 열리는 건 아닐까요? 그동안 코로나로 모든 것을 변명해왔던 것이 중국입니다. 중국의 월드컵 예선 탈락도 코로나 때문이라고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그 막강한 변명거리가 사라지는 겁..
-
중국, 반정부 시위자 색출 시작...백지혁명의 시작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30. 09:22
중국 정부는 코로나 봉쇄 관련 반 정부 시위를 조직한 사람들을 색출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목숨을 걸고 반정부 시위를 진행하고 있는 중국의 보통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일부에서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 통제 정책을 완화할 수도 있다는 의견들을 내고 있기도 하지만 중국 인민들을 그렇게 생각하는 정부였다면 제로 코로나 정책과 같은 것을 아예 시작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사람들의 상식이 통하는 사회는 분명 아닌 듯 합니다. 저런 식의 무자비한 폭압의 통치가 왠지 남의 일 같지가 않아 더욱 두렵기만 합니다. 오늘 미국 주식은 보합 수준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일부 FED 의원들의 금리 상승에 대한 강한 의지가 오늘도 계속해서 미디어를 통해 흘러나왔고 중..
-
블랙프라이데이...중국의 코로나 봉쇄...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26. 14:05
11월 25일부로 중국 인민은행은 실질적인 금리를 0.25% 내리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부동산 산업을 살리고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뭔가를 하기는 해야 하는데 코로나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솔직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이 시점에서 무슨 의미가 있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미국은 여전히 추수감사절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오늘 대부분의 금융 시장은 조기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추수 감사절의 소매 실적이 어느 정도나 될 것인가에 다들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그리 좋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는 합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매우 부진한 거래량으로 소폭 하락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시장이 방향성을 언급하기에는 장도 일찍 마감되었고 거래량도 그리 의미 있는 수치들은 아니었습니다. 다우지수는 ..
-
다시 시작된 중국 코로나의 겨울 악몽...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22. 08:59
중국의 코로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결국 베이징에서는 학교, 상점, 식당 등을 폐쇄하는 실질적인 LOCKDOWN이 시작되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5월 이후 처음으로 전국 단위로 확진자 수가 21천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공식적인 수치들이니 보시는 분들이 알아서 뒤에 0을 서너 개 더하시거나 해서 상황을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어느덧 40천명이 넘었다는 것 같던데.. 정부에서도 정의를 바로 잡는 다른 큰 일들이 많아서 그런지 다들 별 신경은 안 쓰는 듯 하구요. 베이징의 실질적인 LOCKDOWN 소식은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싫든 좋든 간에 중국이라는 나라가 멈추면 다들 너무 힘들어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오늘 미국의 주식 시장도 비슷한 분위기입니다...
-
11월 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21. 07:21
UN과 러시아가 흑해 곡물 수출 안전 보장 기간을 12월부터 120일 연장하는 것에 합의하면서 이번 주간 유지 곡물 시장은 전주의 약세 기조를 이어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흑해 곡물 수출 관련해서 합의를 진행하면서 가장 큰 이득을 본 국가는 우크라이나가 아닌 러시아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일단 러시아는 이번 연장에 합의함으로써 그동안 실질적으로 많은 제재를 받아온 곡물 수출 달러 대금 결제, 비료 수출 제한 조치 등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부터 러시아는 그 동안 우크라이나에서 훔쳐 온 3~4백만 톤의 옥수수, 밀, 보리, 채종 등을 아무런 제한없이 수출이 가능하다고 봐야 합니다. 서방측은 이를 용인함으로써 올 겨울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을 다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
-
이상하게 조용한 금요일이었습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19. 10:04
꽤나 혼란스러운 금요일이었습니다. 미국의 추수 감사절 연휴 직전의 금요일 장이란 의미도 있었지만 이런 저런 가치들의 충돌이 시장에서 있었던 하루였던 것 같습니다. 유럽 중앙은행은 결국 미국 달러 시장의 금리와 매칭을 위해서라도 12월 중에 금리를 추가 인상시킬 수 밖에는 별 다른 수가 없어 보입니다. 미국은 11월에 들어서면서부터 부쩍 2023년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들 있습니다. 정리하면 올해 이렇게 급하게 금리를 인상시킨 것들이 2023년에 다 부메랑으로 미국의 경기침체로 돌아오는 것 아니냐는 의견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금리를 계속 올려서 인플레이션은 종식시키고 보겠다는 것이 미국 FED의 공식 입장이고 앞으로도 계속 이런 입장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
-
지금은 착시현상을 주의해야 할때...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12. 09:54
미국의 10월 CPI 가 8% 이하가 나왔다고 해서 온 세계가 갑자기 아름다워진 것은 분명 아닌데… 분위기가 그렇게 만들어지고 있어 보입니다. FED의 목표 인플레이션율은 여전히 2%입니다. 러시아는 결국 헤르손 지역에서 완전 철수를 시작하는 모양입니다. 우크라이나 침공이후 처음으로 점령했던 주요 도시에서 물러나는 경우입니다. 전쟁의 분기점이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중국은 코로나로 인한 격리기간을 기존 7일에서 5일로 단축시켰습니다. 그 외에도 코로나 정책과 관련해서 소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오늘도 상승세로 마감되었습니다. 12월에 있을 올해의 마지막 FOMC 미팅에서 금리를 0.5% 이하로 올릴 수도 있다는 희망 섞인 전망들까지 나오면서 어제 오늘 미국 뿐 아니라 주요 국가들 주가..
-
승자는 없지만 패자는 분명한 미국의 중간 선거 결과...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1. 10. 12:03
미국의 중간선거가 드디어 끝났습니다. 공화당이 일방적으로 승리할 것이고 이 참에 트럼프도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꼭 그렇게 나오지만은 않았습니다. 결국 트럼프는 다음 주인 15일에나 뭔가 중요한 것을 발표하겠다고 합니다. 벌써 모양새가 망가져버렸습니다. 공화당과 트럼프가 다시 세상을 뒤집어 엎을 것 같은 분위기였는데 사실 실제 표심은 아니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주는 생활의 고통에 낙태 이슈까지 겹치면서 미국의 보통 사람들은 트럼프 같은 정치꾼들의 선동이 아니라 평화로운 일상을 택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에 은행 금리는 폭등하고 삶이 이리 팍팍해 졌는데 이 와중에 정유 회사들이 벌어들인 돈은 사상최고 수준이고 공화당은 이들 돈 잘 벌은 기업들의 법인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