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기침체
-
6월4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7. 07:35
지난 주는 글로벌 경기 침체의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이 곡물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밀어닥친 주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시카고 선물 시장 근월물 가격으로 보면 옥수수는 전주 대비 8% 대두는 10%, 대두박은 2% 수준의 가격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이들 선물 시장에서의 신곡 월도 들인 옥수수 12월물, 대두 11월물의 가격 하락폭이 구곡 월도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곡 월도들 가격은 거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의 GAP UP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또한 캐나다의 캐놀라 가격 하락폭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번 주에만 전주 대비 $200/톤 수준의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캐나다의 캐놀라 생산량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팩트와 중..
-
중국의 경제가 빠르게 망가지고 있습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3. 07:58
오늘 FED 의장 Mr. Powell은 상원 위원회에 나가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 큰 폭의 추가 금리 인상은 필요한 조치 " 라는 점을 다시 강하게 피력했습니다. " 금리 상승" 이 여러 부문에서 큰 고통을 수반하게 될 것이지만 경기 침체의 단계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이 사람에 대한 시장의 믿음이야 많이 약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미국 경제의 수장으로써 분명한 방향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적어도 " 이런 일은 처음 해보는 거라서 잘 모르겠다 " 는 기가 막히는 수준의 대화가 오고 가지는 않고 있어서 그나마 다행입니다. 약 10년 전 모 인사는 " 그건 내가 예전에 다 해봐서 아는데…. " 라는 코멘트로 유명세를 탄 적이 있었는데… 어느 쪽이 ..
-
6월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0. 08:00
북반구 겨울밀 신곡 수확이 시작되면서 생산자들의 헷지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고 있습니다. 일종의 EARLY HARVEST PRESSURE 현상입니다. 그리고 US DOLLAR 가치의 급등 또한 곡물 시장의 가격 하락요인으로 일정정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기 침체가 심화되는 분위기입니다. 대두 등 유지 작물 외 식용유의 하반기 수입량도 예년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입 감소 전망으로 대두 뿐 아니라 캐놀라 가격 또한 하락폭이 큰 주간이었습니다. 터키+러시아 조합과 미국+우크라이나+서유럽 조합이 우크라이나 곡물의 본격적인 수출 경로 확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전쟁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있었던 30~50백만 톤에 달하는 옥수수, 밀 등이 시장에 일시에 공급될 가능..
-
그래도 돈이 갈 곳은 미국 주식 시장뿐?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15. 07:48
오늘부터 이틀간 FOMC 미팅이 진행됩니다. 미국 시간으로 내일 오후에는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폭이 대충 가늠이 될 듯 합니다. 이제는 1% 이상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지난 주 금요일의 CPI 수치는 충격이었습니다. 오늘 US Dollar index는 다시 상승 마감되었고 장,단기 금리차는 역전되었습니다. MSCI global stock index는 0.25% 하락했고 유럽의 STOXX 600 지수도 1.26% 하락했습니다. 이런 모든 부정적인 요인들 에도 불구하고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상당히 잘 버텨주었습니다. 다우지수는 0.3%, S&P 500 지수는 0.1% 하락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어제보다 0.4% 상승했습니다. 금리는 올라갈 것이고 경제지표들도 좋지 않지만 그래도 ..
-
중국의 코로나 봉쇄가 몰고오는 그 폐혜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4. 20. 08:18
오늘은 IMF에서 2022년,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지난 1월보다 하향 조정 발표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률을 2022,23년 3.6%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보고때보다는 2022년 0.8%, 2023년 0.2% 하락한 수치입니다. 낮은 성장률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에 그 이유를 두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 봉쇄를 풀겠다고는 하는데…실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테슬라 공장은 어제부터 8천명이 출근해서 돌아는 가는 것 같은데… 8천명이 공장에서 먹고 자고 하는 모양입니다. 중국이 이런 상황이다 보니 홍콩 항생지수는 2.1% 하락했고 CSI 300 지수도 0.5% 하락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경기 부양책을 쏟아내겠다고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