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기침체
-
이번 주는 아무것도 하지말고...눈에 힘도 풀고 숨만 쉬세요..머리속을 텅 비워야 합니다... 할 수 있는게 별로 없어 보여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6. 07:28
러시아는 주말부터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항구들을 포격하기 시작했습니다. "군사적인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는 것이 그들의 공격 이유였습니다. 그리고 독일에는 천연 가스 공급량을 갑자기 줄였습니다. " 기술적인 문제였다" 는 것이 그들의 설명이었습니다. 영어 단어 중에 wicked 라는 말이 있습니다. 언제 어디에 사용 하느냐 에 따라 의미는 조금씩 달라지겠습니다만 러시아의 이런 행위들 앞에 갖다 붙인다면 " 사악하다 " 정도는 될 것 같습니다. 러시아의 의도는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곡물, 원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을 최대한 끌어올려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자신들은 최대한의 마진을 확보하자는 매우 단순하지만 아주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이번 주에 FED는 달러 기준 금리를 최소한..
-
7월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5. 04:44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의 가장 큰 하이라이트는 러시아/우크라이나/UN/터키 간의 흑해 곡물 수출 정상화 방안 합의였습니다. 이들 간의 합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이번 합의는120일간 유지될 것이며 오데사 등 우크라이나의3개 항구에서 수출되는 벌크 곡물의 선적, 항해 등에 러시아는 공격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왜 이 시점에서 이러한 협정을 미국을 배제하고 진행했는가에 대해서는 나중에 분명히 따져 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일단 이번 협정에서 러시아는 터키의 도움을 받아 보스포러스 해협에서 우크라이나로 들어가는 모든 벌크 모선들에 대한 수색의 권리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또한 오데사 항구 등 주요 항구들 주변에 러시아가 뿌려 놓은 엄청난 숫자의 해상 기뢰 들을 피해 나..
-
악마는 언제나 디테일에 숨어있는 법입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3. 08:45
아무리 미국 증시라고 해도 좋지도 않은 기업들 분기 실적을 가지고 5일 연속을 상승 장으로 끌고 갈 만큼 얼굴이 두껍지는 않았던 듯 합니다. 거기에 어제의 SNAP 충격이 오늘까지도 이어졌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 주 FOMC 미팅에서 금리 인상 폭이 0.75% 가 되든 1.0%가 되든 이번 주에 상승한 지수 폭 만큼은 어느 정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고 판단이 되는 모양입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다우 지수는 0.4%, S&P 500 지수는 0.9%, 나스닥 지수는 1.9% 하락했습니다. 애플주가는 0.8%, MS 주가는 1.7%, 아마존 주가도 1.8% 하락했습니다. 테슬라는 오늘도 0.2% 상승했습니다. US Dollar Index는 오늘도 조정 장세가 이어졌습니다. 0.4% 하락하면서 ..
-
7월2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8. 07:59
USDA WASDE REPORT 발표, 중국의 코로나 재봉쇄, 유럽과 중국의 가뭄, 흑해 곡물 수출의 재개 가능성, 미국 달러 초 강세장, 미국과 서유럽의 인플레이션, 중국 등의 경기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진행된 주간이었습니다. 정리하면 전반적인 글로벌 원자재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MELTING DOWN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주간 유지 곡물 시장 또한 최근의 하락 장세가 이어졌습니다. 시카고 선물 시장 기준으로 전주 대비 옥수수는 $8~$12/톤, 대두는 $17~$20/톤, 대두박은 $9~$14/톤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상반기 대두 수입 물량은 46.3백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백만 톤이 감소한 상태입니다. 더욱 심각한 상황은 하반기에도 대두 등의 수입량이 예전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뒤집어지고 있는데... "뭣이 중헌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6. 07:38
숨가쁜 한주가 이렇게 마무리 됩니다. 오늘 글로벌 주식 시장은 대부분 회복 장세로 마감되었고 미국 달러는 소폭이긴 하나 조정 장세를 보였습니다. 유럽의 STOXX 600 인덱스는 1.8% 상승했고 글로벌 주식 인덱스인 MSCI 지수 또한 1.5% 상승했습니다. 미국 주식은 좋지 않은 실적 보고들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우 지수는 2.2%, S&P 500 지수는 1.9%, 나스닥은 1.8% 상승하면서 이번 주를 마감했습니다. 크게 하락하는 시점에서 낙폭을 최대한 방어했고 반등은 확실히 보여주는 최근의 미국 주식 시장의 특징을 오늘도 보여준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애플주가는 1.2%, MS 주가는 1.1%, 아마존 주가는 2.6%, 테슬라 주가는 0.7% 상승했습니다. 오늘 이와 같은 미국 주식 ..
-
중국판 '수요 붕괴'의 확산, 이로 인한 경기 침체의 확산에 대한 두려움...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3. 08:44
미국의 6월 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글로벌 원자재 시장과 주식 시장은 다시 한번 경기 침체의 두려움에 큰 폭의 하락 장세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역시나 코로나 방역을 위한 새로운 봉쇄 지침을 전국 단위로 내렸습니다. 오늘 브렌트 원유는 전일 대비 7% 이상 급락세를 보이면서 결국 다시 배럴 당 $100 이하로 하락했습니다. 브렌트유 선물 기준으로 배럴 당 $99.31로 마감되었습니다. 러시아는 에너지 공급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 종류의 협박 메시지를 유럽에 날리고 있습니다. 독일 등은 이미 올 겨울에 대한 에너지 대란을 어떻게 넘겨야 할지 심각한 국가적인 차원의 고민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오늘 원유 가격은 $100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중국의 이번 신종 코로나 재 봉쇄 조치가..
-
글로벌 펀드들은 원자재 선물 시장에서 빠르게 탈출하고 있습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5. 07:41
6/22~6/28 주간 동안 펀드들은 24개 주요 원자재 선물 시장에서 NET LONG 포지션을 빠르게 정리해가고 있습니다. 이번 주간에만 펀드들은 237천 LOT의 NET LONG 포지션을 매도했습니다. 이는 전주 대비 무려 16%를 일주일 사이에 매도한 겁니다. 6/28 현재 시점에서 펀드들이 보유하고 있는 NET LONG 포지션 숫자는 1,254천 LOT 입니다. 지난 23개월 사이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23개월 전이면 코로나가 전 세계를 휩쓸던 시기입니다. 그만큼 빠르게 펀드들은 포지션 정리를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이로 인한 원자재 수요의 감소에 대한 우려감이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펀드들의 포지션 상황만 들여다 보고 있으면 인플레이션은 다른 평행 우주의 이야기..
-
곰을 사람이 이길수 있을까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8. 08:46
2022년 상반기의 마지막 주간이 시작되었습니다. 벌써 1년의 절반이 사라졌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지난 주는 글로벌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주요 원자재 시장의 가격들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그러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의외로 빨리 잡힐 수도 있겠구나 라는 일종의 희망 고문이 시작된 주간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주식 시장은 다시 회복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매우 희망적인 희망이 주식 시장을 상승 장세로 리드했다고 보여집니다. 이번 주간도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낙관론이 출현하기에는 너무 이른 것 같습니다. 이제 다음 주면 2022년 상반기가 지나갑니다. 곧 주요 기업들의 상반기 실적 보고가 시작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