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가뭄
-
또 다른 변수...달러의 상승과 중국과 이란...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2. 4. 12:09
미국의 고용 시장 자료가 전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미국의 비농업 부문 1월 신규 고용은 517천명이었습니다. 시장의 전망치는 185천명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예상을 하지 않는 것이 나을 뻔한 겁니다. 임금 인상폭은 12월 대비 소폭이나마 하락했습니다만 일단 고용 시장 자체는 매우 뜨거웠습니다. 이렇게 되면 시장은 다시 FED 눈치를 보게 됩니다. 최근 FED가 제일 신경 쓰는 부분이 과열된 고용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실업률은 3.4% 입니다. 여전히 지난 196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여기서 의문이 하나 듭니다. FED가 그리 고통을 분담하자면서 금리를 올리고 끌어가는 이유는 건강한 미국의 경제 구조입니다. 건강한 미국의 경제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다들 자기 일자리를 갖고..
-
이번 주에도 참 많은 일들이 있을 예정입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31. 11:11
이번 주에는 많은 일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FOMC 미팅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결정되고 그 다음 날에는 유럽 중앙은행과 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애플, 아마존 등 주목을 받고 있는 미국 기업들 약 100개가 분기 실적 보고를 합니다. 페루에서는 중국 소유의 구리 광산이 잇달 은 시위 등으로 인해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비슷한 일들이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듯 합니다. 지역의 정치적인 불안감은 원자재 시장에는 큰 가격 상승 요인입니다. 불안한 정세입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하락 장세로 이번 주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주에 워낙 많은 대형 이벤트들이 예정되어 있다 보니 다들 몸들을 사리는 분위기였습니다. 미국, 유럽 등의 금리 추가 인상이 거의 확실시 되면서 대형 기..
-
러시아가 다시 시작한 흑해의 긴장감...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7. 12:28
다음 주에는 2023년 들어서 처음으로 미국의 FOMC 미팅이 있습니다. 대략 모아지는 의견들은 0.25% 정도 금리 인상이 있을 것 같다는 겁니다. 작년만큼 큰 폭의 상승은 아니지만 여전히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은 고수하고 있습니다. 오늘 미국의 2022년 4분기 GDP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2022년으로는 3.5% 성장에 4분기에는 2.9% 성장이었습니다. 3분기의 성장률이 3.2%였으니까 FED의 금리 상승 등이 GDP 성장을 그만큼은 둔화 시킨 것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둔화 시킨 만큼은 또 인플레이션 쪽을 잡은 거니 나름대로 의미는 있어 보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입니다. 유럽 중앙은행은 0.5% 수준 이상의 금리 인상까지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다음 주 F..
-
유럽과 일본 경제의 약진...미국 달러가 하락하는 이유...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5. 10:53
1월 COMPOSITE PMI 지수가 공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여전히 50 포인트 밑에서 부진한 경제 상황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유럽과 일본이 이번 달에는 크게 약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유럽 중앙은행이 미국 보다도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겠다는 입장을 보이는 이유도 여기 있는 듯 합니다. 1월에 들어서면서 미국 달러의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는 것도 동일한 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FOMC 미팅이 시작됩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번 미팅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0.25%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이들이 아직도 FED 안에서의 목소리는 높은 것 같습니다만 미국의 현재 상황이 그리 좋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0.25%는 어쩔 수 없는 선택지..
-
중국과 러시아가 억지로 끌고가는 세상...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4. 13:06
대부분의 아시아 시장이 설 연휴로 쉬고 있으니 뭐 그리 활발한 분위기는 아니었던 하루였습니다. 수 억명의 중국 사람들이 중국 전역을 여행을 다니고 있으니 곧 중국 경제가 뭔가 살아날 것 같은 분위기를 언론들이 잔뜩 잡아주고는 있지만 중국 경제가 무너진 것은 중국 사람들이 코로나 때문에 식당에 가지 못했기 때문이라던지 아니면 마음대로 여행을 못 다녔기 때문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히 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경험 상 이렇게 큰 명절을 한번 지내고 나면 이 병은 엄청 확산이 될 것이라는 것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다음 주에 연휴가 끝나고 나서 중국이 어떤 이야기를 할지는 꼭 지켜봐야 합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지난 주 후반에 이어 오늘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대형 기술주들의 상승이 주요 동..
-
1월3주차 주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미국의 경기 침체 진입 가능성과 남미 기상패턴의 변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3. 12:22
https://naver.me/5NqyTL5b 1월3주차 주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미국의 경기 침체기 진입의 가능성과 남미 기상 패턴의 아르헨티나의 가뭄이 1월말부터는 개선이 될 수도 있다는 기상 예보, 여전히 부진한 중국의 곡물 수입 수요에 대한 실망감, 지난 주에 발표된 USDA REPORT에 대한 현장의 불신 확대, 미국 등 주요 국 contents.premium.naver.com
-
근하신년과 같이 하는 금요일 시장...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1. 12:48
일본은 40여년만의 최고 수준 인플레이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중앙은행 총재는 현재의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다보스 포럼에서 밝혔습니다. 구로다 총재의 발언 이후 엔화의 미국 달러 환율은 3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 앉습니다. 일본은 세계 유일의 제로 금리 유지 국가로 당분간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참 이상한 나라입니다. 그 나라에 살고 있는 일본 사람들은 힘들어 하는데 국민들이 완장 채워준 사람들은 뭔가 딴 생각을 하는 듯 합니다. 누구를 위한 완장들일까요? 우리도 뭐…남의 나라 말할 상황은 아니니… 자기들이 잘 나서 완장 차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멘탈 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설날 연휴에 참 죄송합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이번 주를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
중국의 2022년 GDP 성장률 3%의 의미...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8. 11:06
중국의 2022년 GDP 성장률은 3% 인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중국 정부의 목표는 5.5% 였으니 거의 반 토막이 난 셈이지만 그래도 시장에서는 다들 선방한 것으로 평가하는 모양입니다. 말이 아 다르고 어 다른 것은 다 알고 있지만 새해 들어서 중국을 대하는 주요 세계 언론들의 분위기가 많이 바뀌고 있는 듯 하기는 합니다. 중국의 나랏돈이 기존의 시장 뿐 아니라 언론, 방송계 등에도 크게 들어간다고들 합니다. 코로나를 극복한 위대한 중국 만들기가 다시 시작되는 듯 합니다. 가장 선명하게 표를 낼 수 있는 분야는 경제 부문이니 중국의 주식 시장, 해외에 상장되어 있는 중국 기업들의 주가를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성장하는 중국의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 엄청난 물량의 원자재들을 구매하려는 듯한 모습들이 보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