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달러환율
-
미국은 주식시장도 나름대로 잘 버티고 있고 달러는 연일 상승하고... 혹시 21세기판 팍스 아메리카나의 시작?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5. 07:58
JP 모건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분기 실적 보고가 시작되었습니다. 예상했던 바 대로 실적들은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JP 모건의 분기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61%가 줄어들었습니다. 모건 스탠리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5% 감소했습니다. 미국의 시제이 그룹이라고 볼 수 있는 콘아그라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 매출은 6.4% 감소했습니다. 콘아그라의 경우는 주가도 오늘 7.3% 하락했습니다. CPI 가 발표된 어제와 전반적인 분위기는 비슷했습니다. 유럽 주가 지수인 STOXX 600도 1.6% 하락했고 Global Stock Index인 MSCI 지수도 1.6% 하락했습니다. 주요 원자재 가격들도 주요 국가들의 주식시장과 함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
-
중국판 '수요 붕괴'의 확산, 이로 인한 경기 침체의 확산에 대한 두려움...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3. 08:44
미국의 6월 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글로벌 원자재 시장과 주식 시장은 다시 한번 경기 침체의 두려움에 큰 폭의 하락 장세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역시나 코로나 방역을 위한 새로운 봉쇄 지침을 전국 단위로 내렸습니다. 오늘 브렌트 원유는 전일 대비 7% 이상 급락세를 보이면서 결국 다시 배럴 당 $100 이하로 하락했습니다. 브렌트유 선물 기준으로 배럴 당 $99.31로 마감되었습니다. 러시아는 에너지 공급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 종류의 협박 메시지를 유럽에 날리고 있습니다. 독일 등은 이미 올 겨울에 대한 에너지 대란을 어떻게 넘겨야 할지 심각한 국가적인 차원의 고민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오늘 원유 가격은 $100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중국의 이번 신종 코로나 재 봉쇄 조치가..
-
어쩌면 이번 7월은 최악의 한달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2. 09:13
이번 주부터 2분기 기업들의 실적 보고가 시작됩니다. 6월 미국의 CPI 리포트도 발표됩니다. 그리고 중국은 이번 주부터 비공식적인 코로나 재봉쇄가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의 6월 CPI 수치는 8.8%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들을 하고 있습니다. 9% 이상으로 치고 올라갈 힘은 이젠 보이지는 않으니 다행이지만 과연 8.8%가 고점을 찍은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6월 중순부터 곡물 가격, 식용유 가격 등이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했고 UN FAO의 식품 물가 지수도 6월까지 하락세가 이어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마도 6월 CPI 가 정점이 될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 보입니다. CPI 수치가 8.8% 수준으로 나와준다면 FED는 당연히 금리를 0.75% 는 최소한 올릴..
-
7월1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1. 07:41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은 상당히 혼란스러운 장세가 전개되었습니다. 미국의 독립 기념일 연휴를 마치고 나서 시작된 화요일 시장부터 수요일 장세까지는 대두를 중심으로 매우 큰 폭의 가격 하락이 있었지만 목요일 장부터는 급등세로 전환되었습니다. 결국 주간 단위의 가격 변동 폭은 전주 대비 상승으로 대부분 마감되었습니다. 중반 이후 러시아의 흑해 곡물 수출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라는 소식과 함께 푸틴의 ‘ 이번 전쟁은 끝을 보겠다 ‘는 강한 입장 표명으로 인해 시장의 방향이 상승세로 전환되어 버렸습니다. 게다가 서유럽, 특히 프랑스와 이태리의 가뭄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EU의 옥수수 생산량이 전월 예상치인 68백만 톤에서 62~63백만 톤 수준까지 감소할 수도 있다는 예상들이 시장을 강하게 받쳐주고 있는..
-
중국 코로나 신규 발생 338명, 상하이 81개 거주지역 재 봉쇄... 중국 코로나 재봉쇄의 시작인가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8. 08:07
같은 의문이 매일 듭니다. 경기 침체냐 인플레이션이냐...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 보통 사람들은 금리가 올라서 이자 갚기가 너무 힘들다 어쩐다 해도 결국 금리는 올라갈 겁니다. 뭐라고 지금의 이 시기를 이름 붙히든간에 먹고 살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된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원유를 비롯한 대부분의 원자재 시장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하루만에 뭐 달라진 게 있겠습니까. 부지런히 이유들을 대고는 있지만 결국은 OVER SOLD 상황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 원유는 브렌트유 선물 시장 기준으로 3.5%가 급등했습니다. 배럴 당 $104.19로 마감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하루만에 뭐가 그리 달라졌겠습니까.. 원유 시장의 공급이 타이트하다는 것은 온 세상이 인정하는 팩트인데 ..
-
6월5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4. 07:00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도 최근의 하락세가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6월 한달 동안에만 시카고 선물 시장 기준으로 월초 가격 대비 옥수수 12월물은 12.9%, 대두 11월물은 3.4%, 시카고 밀 9월물은 19.5%, 대두유 12월물은 13.7% 가 하락했습니다. 특히 신곡 월도들의 가격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대부분의 시카고 농산물 아이템들의 가격이 하락했지만 대두박은 11월물 기준으로 1.2%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대두유 등 식용유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대두박 등 식물성 단백질의 가격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일에는 미국 농무성의 분기말 재고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 연방 대법원은 바이든 행정부가 탄소배출권 관련 산업을 통제하는 행정권에 대해서 불법하다는 판결을..
-
러시아가 훔쳐간 우크라이나산 곡물은 국제 장물인가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 10:11
7월이 시작되었습니다. 2022년 3/4분기와 하반기의 시작점입니다. 거기에다 오늘은 미국의 독립 기념일연휴가 시작되는 금요일 시장이었습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의미가 겹쳐지는 시장 움직임이었습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 장세로 마감되었습니다. 별다른 동인이 있었 다기 보다는 새로운 분기에 대한 희망과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는 듯한 모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해석이 됩니다. 다우지수는 1.1%, S&P 500 지수는 1.1%, 나스닥 지수는 0.9% 상승했습니다. 애플주가는 1.6%, MS는 1.1%, 아마존은 3.2% 그리고 테슬라는 1.2% 상승했습니다. 테슬라의 머스크는 지금 9일째 트위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뭔가 조금씩 무서워지고 있습니다. 무슨 일을 뒤에서 준비 중인지.. 미국..
-
인플레이션이냐 경기의 침체냐...뭐가 더 무서운 세상일까...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 08:57
6월의 마지막날 이었습니다. 6월의 후반기부터는 미국을 중심으로 흥미로운 논쟁이 진행 중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그렇게 심한 것인가? 괜히 잘못 건드려서 경기 침체가 시작되면 다들 너무 힘들어지는 것 아닌가? FED는 여기에 단호하게 선을 긋습니다. "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개선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금리 인상 등으로 지속적으로 강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 " 오늘 발표된 US Consumer Spending 자료들을 보면 더욱 헷갈립니다. 5월 중에 0.2% 상승한 겁니다. 이는 지난 5개월만에 가장 낮은 상승치 입니다. 여기에 5월의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조정 수치는 0.4% 하락한 것이 됩니다. 지난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난 겁니다. 과연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진행 중인가요?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