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5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4. 07:00728x90반응형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도 최근의 하락세가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6월 한달 동안에만 시카고 선물 시장 기준으로 월초 가격 대비 옥수수 12월물은 12.9%, 대두 11월물은 3.4%,
시카고 밀 9월물은 19.5%, 대두유 12월물은 13.7% 가 하락했습니다.
특히 신곡 월도들의 가격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대부분의 시카고 농산물 아이템들의 가격이 하락했지만 대두박은 11월물 기준으로 1.2%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대두유 등 식용유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대두박 등 식물성 단백질의 가격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일에는 미국 농무성의 분기말 재고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 연방 대법원은 바이든 행정부가 탄소배출권 관련 산업을 통제하는 행정권에 대해서
불법하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흑해 항구들에 대한 포격을 지속하면서 훔친 곡물들을 친 러시아 국가들에
수출하는 행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폭락하는 팜유 가격을 멈추기 위해서 자국의 바이오 디젤 의무 사용 비율을
기존의 30%에서 35%로 상향 조정시켰고
아르헨티나 전국 노조는 일단 곡물 관련 트럭 운송 파업을 중단했습니다.
중국은 자국의 경기 부양을 위해서 항구, 도로 등 전국 단위의 대규모 인프라 설비 재건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금리 추가 인하, 돼지고기 정부 수매 등의 조치들을 잇달아 시행 준비 중입니다.
미국에서도 인플레이션 정도는 약화될 기미가 보이고 있습니다.
5월의 CONSUMER SPENDING 지수는 0.2% 하락하는 등
다소 이르기는 하지만 경기 부진이 나타날 징조까지 보여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경기의 선행 지표로 볼 수 있는 LME의 구리 선물 가격이 이번 주에 17개월 최저가를 기록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변화입니다.
전 세계 경제 상황이 한 치 앞을 예상하기 힘들 정도로 혼란스러운 상태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펀드들도 원자재 시장에서의 투기성 포지션의 보유 수준을 크게 줄여가고 있으며
그 동안 인플레이션을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엄청난 수준의 원자재, 상품 재고 비축을 해왔던
글로벌 기업들의 PANIC SELLING 또한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의 패닉 셀링은 최근의 주요 원자재들의 선물, 현물 가격이 지나치게 큰 하락폭을 보이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동안 알게 모르게 진행되어온 글로벌 사재기의 직접적인 영향입니다.
이들 원자재 사재기 물량이 어느정도 해소가 되기 전까지는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원자재 가격의
하락세가 당분간은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커 보입니다.
728x90반응형LIST'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코로나 재봉쇄 가능성이 터트린 원자재 시장 가격 폭락이라는 이름의 수류탄 ... (28) 2022.07.06 글로벌 펀드들은 원자재 선물 시장에서 빠르게 탈출하고 있습니다. (22) 2022.07.05 러시아가 훔쳐간 우크라이나산 곡물은 국제 장물인가요? (28) 2022.07.02 인플레이션이냐 경기의 침체냐...뭐가 더 무서운 세상일까... (24) 2022.07.01 시카고 선물 시장의 곡물 부문에서 펀드들의 보유 포지션 현황은? (14) 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