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주가
-
푸틴의 한마디.."우린 끝까지 간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9. 09:29
푸틴은 오늘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 작전은 끝까지 간다" 라고 굳이 한 마디 하셨습니다.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에서의 코로나 관련 규제 시행을 잠시 유예할 듯한 분위기가 나왔습니다. 중국 내 민심이 매우 좋지 않은 것 같아 보입니다.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여전히 매우 좋은 상태인 것으로 다시 확인되었습니다. 실업률이 거의 안전 고용 수준인 3.6% 대를 유지했습니다. 이번 주를 마감하는 매크로한 큰 요인들을 보면 대충 이렇습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종일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보합세로 마감되었습니다. 다우 지수는 0.2%, S&P 500 지수는 0.1% 하락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0.1% 상승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0.5% 상승했지만 MS는 0.3%, 아마존은 0.7% 하락했습니다. 테슬라는 의외로 2..
-
중국 코로나 신규 발생 338명, 상하이 81개 거주지역 재 봉쇄... 중국 코로나 재봉쇄의 시작인가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8. 08:07
같은 의문이 매일 듭니다. 경기 침체냐 인플레이션이냐...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 보통 사람들은 금리가 올라서 이자 갚기가 너무 힘들다 어쩐다 해도 결국 금리는 올라갈 겁니다. 뭐라고 지금의 이 시기를 이름 붙히든간에 먹고 살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된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원유를 비롯한 대부분의 원자재 시장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하루만에 뭐 달라진 게 있겠습니까. 부지런히 이유들을 대고는 있지만 결국은 OVER SOLD 상황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 원유는 브렌트유 선물 시장 기준으로 3.5%가 급등했습니다. 배럴 당 $104.19로 마감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하루만에 뭐가 그리 달라졌겠습니까.. 원유 시장의 공급이 타이트하다는 것은 온 세상이 인정하는 팩트인데 ..
-
이제는 다시 냉정해져야 할 시점...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7. 08:26
7월 FOMC 미팅은 7/26~27일에 진행이 됩니다. 과연 이번에도 지난 번처럼 큰 폭으로 인상을 시킬까요? 요즘 분위기로 봐서는 FED도 조심스러워 할 것 같기는 합니다. 그런데 한번 생각은 해볼 때가 되었습니다. 정말 인플레이션은 끝나고 경기 침체기가 시작되는 건가요? 그런데 정말 경기 침체라는 건 정말 뭘 까요? 요즘은 금리를 올리면 안된다는 쪽으로 왠지 몰아가는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조금은 더 냉정하게 분위기 쓸려가지 않으면서 시장을 지켜볼 필요가 있는 시점입니다. 6월달 FOMC 회의록이 공개되었음에도 일단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어제에 이어 강 보합세로 마감되었습니다. 다우지수는 0.2%, S&P 500 지수는 0.4%, 나스닥 지수는 0.4% 상승했습니다. 역시 대형 기술주들의 상승세가 돋..
-
중국의 코로나 재봉쇄 가능성이 터트린 원자재 시장 가격 폭락이라는 이름의 수류탄 ...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6. 07:53
미국이 7월4일 독립 기념일 연휴를 보냈다는 점 말고는 특별한 변화는 없었습니다만 오늘 전 세계 주식및 원자재 시장은 폭락 장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주식 시장과 미국 달러만이 강세를 보인 하루였습니다. 며칠사이에 경기 침체가 중국에서 갑자기 전 세계로 확산이 된 것도 아닌데 도대체 왜 글로벌 시장 가격이 무너졌는지는 잘 따져볼 필요가 있겠습니다만 누가 이런 상황에서 답을 던져 주겠습니까. 사실 미국이 연휴를 보내는 동안 세상은 그다지 큰 변화는 없어 보였습니다. 미국에서는 또 다시 총기 난사 사건들이 곳곳에서 발생했고 수십명이 죽었습니다. 전에는 몇 년에 한번씩 발생하더니 요즘은 1주일에 한 건 씩은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찰관들이 흑인 한 명을 또 사살 했구요… 이번에는 경찰 10명이서 60..
-
러시아가 훔쳐간 우크라이나산 곡물은 국제 장물인가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 10:11
7월이 시작되었습니다. 2022년 3/4분기와 하반기의 시작점입니다. 거기에다 오늘은 미국의 독립 기념일연휴가 시작되는 금요일 시장이었습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의미가 겹쳐지는 시장 움직임이었습니다.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 장세로 마감되었습니다. 별다른 동인이 있었 다기 보다는 새로운 분기에 대한 희망과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는 듯한 모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해석이 됩니다. 다우지수는 1.1%, S&P 500 지수는 1.1%, 나스닥 지수는 0.9% 상승했습니다. 애플주가는 1.6%, MS는 1.1%, 아마존은 3.2% 그리고 테슬라는 1.2% 상승했습니다. 테슬라의 머스크는 지금 9일째 트위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뭔가 조금씩 무서워지고 있습니다. 무슨 일을 뒤에서 준비 중인지.. 미국..
-
인플레이션이냐 경기의 침체냐...뭐가 더 무서운 세상일까...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1. 08:57
6월의 마지막날 이었습니다. 6월의 후반기부터는 미국을 중심으로 흥미로운 논쟁이 진행 중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그렇게 심한 것인가? 괜히 잘못 건드려서 경기 침체가 시작되면 다들 너무 힘들어지는 것 아닌가? FED는 여기에 단호하게 선을 긋습니다. "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개선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금리 인상 등으로 지속적으로 강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 " 오늘 발표된 US Consumer Spending 자료들을 보면 더욱 헷갈립니다. 5월 중에 0.2% 상승한 겁니다. 이는 지난 5개월만에 가장 낮은 상승치 입니다. 여기에 5월의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조정 수치는 0.4% 하락한 것이 됩니다. 지난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난 겁니다. 과연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진행 중인가요? 아니..
-
앞으로 금리 인상은 미국만의 이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9. 08:12
지난 주와는 상당히 다른 분위기로 월요일 시장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FED의 금리 인상에 대한 강한 의지가 오늘 다시 표명된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금리를 꾸준히 상향 조정하겠다는 FED 자세는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그 기세는 2주 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지난 주에 미국 시장에도 밀어 닥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FED에도 분명히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오늘 발표된 6월 현재까지의 Consumer Confidence 수치는 전월 동기 대비 4.5 포인트 하락한 98.7 포인트였습니다. 이는 지난 16개월 동안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소비자들이 돈을 쓰고자 하는 의지가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FED도 이러한 시장의 변화가 신경..
-
곰을 사람이 이길수 있을까요?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8. 08:46
2022년 상반기의 마지막 주간이 시작되었습니다. 벌써 1년의 절반이 사라졌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지난 주는 글로벌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주요 원자재 시장의 가격들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그러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의외로 빨리 잡힐 수도 있겠구나 라는 일종의 희망 고문이 시작된 주간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주식 시장은 다시 회복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매우 희망적인 희망이 주식 시장을 상승 장세로 리드했다고 보여집니다. 이번 주간도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낙관론이 출현하기에는 너무 이른 것 같습니다. 이제 다음 주면 2022년 상반기가 지나갑니다. 곧 주요 기업들의 상반기 실적 보고가 시작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