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시장동향과전망
-
10월1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0. 10. 06:19
OPEC이 무려 2백만 배럴의 원유 생산량 감소를 결정하면서 이번 주 주요 원자재 시장은 원유를 중심으로 큰 폭의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유지 곡물 시장의 변동폭은 다른 아이템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그리 크지는 않았습니다. 당초 OPEC의 생산량 감소 결정으로 원유 가격 등이 폭등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하였으나 실제 상승폭은 예상보다는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중국의 노동절 연휴 때문이었습니다. 어찌되었든 노동절 연휴로 인해 중국의 공식적인 입장이 배제된 상태에서의 가격 상승은 큰 의미가 있어 보이지 않는 겁니다. 곡물 시장이 이번 주에 나름대로 조용했던 이유도 같습니다. 중국의 공식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는 시장의 가격 등락의 의미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은 이제 분명한 팩트입니다. 여기에..
-
9월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9. 19. 06:36
이번 주에는 유난히 주요 원자재 아이템들과 관련된 굵직한 이슈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곡물 부문에 집중되는 듯한 경향도 보였습니다. USDA의 9월 WASDE REPORT, 미국의 8월 CPI 발표, 미국 철도 노조 파업, 푸틴의 중국, 인도, 투르키예 등과의 정상 회담 등 굵직한 뉴스들이 유독 많았습니다. USDA는 9월 WASDE REPORT에서 미국 대두 신곡의 YIELD를 시장 예상치보다 크게 낮은 50.5 BPA로 발표했고 이로 인해 대두 부문의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반면 옥수수, 밀 등의 가격은 주 중 내내 조정 분위기가 이어졌습니다. 이후 실제 수확이 진행 중인 미국 현장의 상황을 USDA에서 제대로 반영한 것이 맞느냐 등의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히려 옥수수의 수확 상황이..
-
9월2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9. 12. 12:04
이번 주에 유럽 중앙은행이 전격적으로 유로화 기준 금리를 0.75% 인상시키면서 미국 달러의 기준 금리도 이달 말에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커져버렸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유럽권을 제외하면 과연 현 글로벌 경제 상황이 인플레이션이냐는 의견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실질적으로는 중국과 매우 비슷한 형태의 경기 침체를 더욱 우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들이 증가하고 있는 겁니다. 이번 주 후반에 발표된 중국의 8월 PPI 가 여전히 하락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중국의 경기 침체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원유 등의 주요 원자재 가격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중국의 2022년 대두 수입 예상 물량이 결국은 95백만 톤 이하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대두 등 유..
-
현 시점에서 펀드들의 원자재 포지션 운용 현황은?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9. 6. 09:18
8/30 기준으로 마감된 CFTC REPORT 를 정리해 보면 펀드들의 원자재 부문에서의 NET LONG 포지션 축적이 다시 시작되고 있음을 확연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주간에도 펀드들은 전주 대비 NET LONG 포지션을 3%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지난 주 까지만 해도 옥수수 등 유지 곡물에서의 NET LONG 포지션 축적 추이가 주였으나 이번 주부터는 에너지, SOFT 등 거의 전부문에서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지난 52주 실적과 비교해보면 펀드들의 NET LONG 포지션은 51%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단 중국의 경기 침체 등으로 수입 수요가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는 축산물 부문에서는 펀드들이 빠르게 빠져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펀드들의 포지션 상황..
-
9월1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9. 5. 08:01
불안한 GLOBAL MACRO 경제 상황이 유지 곡물 뿐 아니라 원유, 석탄, 철광석 등 주요 원자재 대부분의 시장에 매우 큰 불확실성을 공급해주고 있는 상태입니다. 불안한 구조가 이렇게 유지되다 보니 시장의 전개 방향 또한 매우 극단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주의 곡물 시장의 가격 동향 또한 주 초반 급등세가 나타나다가 주 후반 무너지는 등 방향을 확실히 상실한 듯한 모습들이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지난 8월부터 시작된 우크라이나의 흑해 곡물 재개로 인해 세계 곡물 시장의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8월 한달간 총 86개 벌크 모선의 선적을 통해서 1.2백만 톤의 옥수수와 약 40만 톤의 밀, 약 15만 톤의 해바라기 유지 종자 ..
-
8월2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8. 15. 07:55
1주일만에 시장의 방향이 다시 바뀌어 버렸습니다.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은 지난 주와는 다르게 큰 폭의 가격 상승으로 마감되었습니다. 가격의 상승 요인들을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유럽의 옥수수 신곡 생산량 감소 가능성입니다.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유럽의 옥수수 신곡 생산량 전망은 한달 전의 68백만 톤 수준에서 55백만 톤까지 줄어들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2) 이번 금요일 발표된 BULLISH TONE의 USDA 8월 WASDE REPORT 또한 분명한 가격 상승 요인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신곡 생산량도 전월 대비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옥수수 신곡 YIELD가 전월 보고서 대비 1.6 BPA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아르헨티나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국가 부..
-
7월4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8. 1. 06:20
7월4주차에도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국채 수익율 하락 등, 원자재 시장에는 꽤나 굵직한 가격 약세 요인들은 있었으나 이번 주 곡물 시장은 전주 대비 큰 폭으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대두, 대두박 등 대두 군에서의 가격 상승폭이 매우 컸습니다. CME 기준으로 대두11월물은 전주 대비$57/톤 이 급등하면서 1주일만에 $540/톤 수준으로 크게 올랐고 대두박 가격 또한 11월물 기준으로 전주 대비 $42/톤이 급등하면서 $470/톤 수준까지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대두 등의 구매 페이스가 여전히 슬로우 한데도 대두 부문의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은 의외였습니다. 이번 주의 상승 요인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1) 미국 의회의 바이오 에너지 활성화 법안 (바이오 디젤에 겔런 당$1의 세제 혜택 등 ..
-
7월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7. 25. 04:44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의 가장 큰 하이라이트는 러시아/우크라이나/UN/터키 간의 흑해 곡물 수출 정상화 방안 합의였습니다. 이들 간의 합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이번 합의는120일간 유지될 것이며 오데사 등 우크라이나의3개 항구에서 수출되는 벌크 곡물의 선적, 항해 등에 러시아는 공격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왜 이 시점에서 이러한 협정을 미국을 배제하고 진행했는가에 대해서는 나중에 분명히 따져 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일단 이번 협정에서 러시아는 터키의 도움을 받아 보스포러스 해협에서 우크라이나로 들어가는 모든 벌크 모선들에 대한 수색의 권리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또한 오데사 항구 등 주요 항구들 주변에 러시아가 뿌려 놓은 엄청난 숫자의 해상 기뢰 들을 피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