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시장동향과전망
-
6월3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20. 08:00
북반구 겨울밀 신곡 수확이 시작되면서 생산자들의 헷지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고 있습니다. 일종의 EARLY HARVEST PRESSURE 현상입니다. 그리고 US DOLLAR 가치의 급등 또한 곡물 시장의 가격 하락요인으로 일정정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기 침체가 심화되는 분위기입니다. 대두 등 유지 작물 외 식용유의 하반기 수입량도 예년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입 감소 전망으로 대두 뿐 아니라 캐놀라 가격 또한 하락폭이 큰 주간이었습니다. 터키+러시아 조합과 미국+우크라이나+서유럽 조합이 우크라이나 곡물의 본격적인 수출 경로 확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전쟁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있었던 30~50백만 톤에 달하는 옥수수, 밀 등이 시장에 일시에 공급될 가능..
-
6월2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13. 08:08
이번 주 유지 곡물 시장은 지난 3주~4주 간의 가격 조정기를 마치고 다시 확실한 가격 상승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요일 발표된 USDA REPORT 가 아무래도 그 분기점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실제 USDA REPORT 내용 상으로는 지난 달과 큰 수치 상의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방향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 준 것으로는 이해가 됩니다. FUNDAMENTAL하게 곡물 시장 전반적으로 BULLISH 한 상황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 이번 USDA REPORT가 다시 확인을 해주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 캐나다는 이제 여름 작물의 파종이 거의 마무리된 상태입니다. 여름 날씨 상황에 따라 등락폭이 큰 WEATHER MARKET 시즌이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대두박 가격의 더욱..
-
6월1주차 세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6. 6. 06:26
이번 주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곡물 수출 루트 확보 경쟁이 곡물 시장 가격의 방향을 극적으로 전환시켜 놓은 주간이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이제 100여일이 넘으면서 전쟁은 장기전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는 예년의 70% 수준까지 신곡을 파종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인근 국가의 철도, 트럭 망 등을 활용해서 상당량의 옥수수, 밀 등을 수출까지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우크라이나는 주변국들과의 공조를 통해 발틱해를 통한 곡물수출을 준비 중입니다. 이제 급해진 것은 러시아입니다. 그동안 무력으로 흑해 항구들을 확보하고 동유럽의 곡물 수출을 일종의 전략 무기화 하면서 서방 측을 다양하게 압박하던 러시아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이렇게 수출도 하고 농사도 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