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가격
-
일본 물가 상승률 4%의 의미...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20. 11:07
일본의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지난 12월에 4%를 기록했습니다. 41년만의 최고 수준입니다. 디플레이션의 나라 일본이 이상해지고 있습니다. 좋은 방향으로 이상해지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일본 중앙은행도 드디어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일본 엔화가 움직이면 미국 달러는 더 가파르게 하락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제 관건은 미국이 이를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여 줄 것 인가입니다. 일본은 미국입장에서는 디플레이션이든 인플레이션이든 그저 변함없는 상수로 가만히 있어 주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기는 합니다. 앞으로 일본의 움직임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하락했습니다. 어제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들이 던져 준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두려움으로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
-
본격적인 경기 침체가 시작되는 듯한 미국의 모습...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9. 10:03
일반적으로 미국 등지에서 12월은 가장 바쁜 쇼핑시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오늘 발표된 미국의 12월 소매소비 판매지수는 11월 대비 1.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12월 미국의 산업 생산 지수도 11월 대비 1.3% 하락했습니다. 소비와 생산의 부진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경기 침체의 시작을 의미한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FED 의원들은 활발한 고용시장을 이유로 이달 말에 시작하는 올 해 첫 FOMC 미팅에서도 금리 인상을 강하게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FED는 2022년에 제로 금리에서 4.25%를 올렸습니다. 강성 FED 의원들은 올해에는 최소한 5% 는 넘겨야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금리를 올린다고 인플레이션을 끌어..
-
중국의 2022년 GDP 성장률 3%의 의미...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8. 11:06
중국의 2022년 GDP 성장률은 3% 인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중국 정부의 목표는 5.5% 였으니 거의 반 토막이 난 셈이지만 그래도 시장에서는 다들 선방한 것으로 평가하는 모양입니다. 말이 아 다르고 어 다른 것은 다 알고 있지만 새해 들어서 중국을 대하는 주요 세계 언론들의 분위기가 많이 바뀌고 있는 듯 하기는 합니다. 중국의 나랏돈이 기존의 시장 뿐 아니라 언론, 방송계 등에도 크게 들어간다고들 합니다. 코로나를 극복한 위대한 중국 만들기가 다시 시작되는 듯 합니다. 가장 선명하게 표를 낼 수 있는 분야는 경제 부문이니 중국의 주식 시장, 해외에 상장되어 있는 중국 기업들의 주가를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성장하는 중국의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 엄청난 물량의 원자재들을 구매하려는 듯한 모습들이 보여지..
-
1월2주차 주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미국 달러 가치의 하락과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6. 08:24
https://naver.me/FXrEMG1c 1월2주차 주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미국 달러 가치의 하락과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2023년 유지 곡물 시장이 2주차로 넘어오면서 어느 정도 방향성이 잡혀 가고 있는 듯 합니다. 이번 주에도 미국, 중국 등의 12월 CPI 가 발표되는 등 여전히 중요한 매크로 지표들이 원자재 시장의 contents.premium.naver.com
-
2023년 2주차의 키워드 : 달러 약세,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분기 실적...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4. 10:46
2023년의 두번째 주간이 끝났습니다. 이번 주간의 KEY WORD 들을 굳이 정리해본다면 ' 미국 달러의 약세 ', ' 중국 수요에 대한 기대감 ' 그리고 지난 ' 4분기 실적 보고 ' 정도일 것 같습니다. 유럽의 주요 국가들이 결국 러시아의 폭압에서 벗어나는 듯 한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세계 경제 회복의 큰 동력이 되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최근 달러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 유로화의 가치 회복이었음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갑작스러운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당황스럽기는 하지만 일단 원유 등 주요 원자재 시장에 큰 상승 동력이 되고 있는 것은 팩트입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중국발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시작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오늘 부터 시작되는 미국 상장 기업들의 지난 분기 실..
-
곡물 생산량 전망이 한달만에 11백만 톤 감소했습니다 (USDA)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3. 08:44
미국의 12월 CPI 수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간 베이스로 6% 까지도 예상되었지만 결국은 6.5%로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11월은 7.1% 였습니다. 월간으로 보면 12월 CPI는 11월보다 0.1% 하락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확실하게 하강 국면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이번 12월 수치들 에서도 다시 한번 확인은 되었습니다. 문제는 하강의 속도일 것입니다. FED가 기대하는 만큼의 속도가 아닌 것만은 분명합니다. FED가 목표로 세우고 있는 인플레이션의 끝은 2%임을 다시 한번 인지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자 이제, 공은 다시 한번 FED에게 던져졌습니다. 이번 달 말에 예정되어 있는 2023년의 첫 FOMC 미팅에서 어떤 결정을 할까요? 애매한 시점과 상황들이기는 합니다. 중국은 2023년 GD..
-
중국이라는 딜레마...우리만의 문제는 아니지만...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0. 10:40
이번 주는 꽤나 중요한 주간이 될 듯 싶습니다. 일단 미국 등의 12월 CPI가 발표되는 주간입니다. 리포트 전후로 금리가 어떻게 될 것인가 등 복잡하게 시장이 전개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그리고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이 시작됩니다. 타이레놀 사러 오느냐 등등 말들은 많지만 와서 돈을 많이 써주고 갔으면 하는 희망과 코로나가 다시 안 퍼졌으면 하는 바램이 양립하는 묘한 분위기가 느껴 지기는 합니다. 왜냐하면 일본도 그렇고 대부분 중국에서 바로 오는 항공편 등은 입국 시 검사 등을 강화하는 듯 하지만 홍콩, 마카로는 제외하는 국가들이 꽤 됩니다. 우리나라는 어떤 지 누가 이야기를 안 해주니 잘 모르겠지만… 그리고 설 연휴까지 이어집니다. 각자 알아서 살아남아야 하는 세상이 되어 버렸으니 걱정은 됩니다.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