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2월 중 가장 중요한 한 주가 시작되었습니다...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2. 12. 13. 09:43728x90반응형
2022년의 마지막 달인 12월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한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내일부터 미국 11월 CPI가 발표되고 이번 주 내내 미국, 영국, EU 등의 기준 금리가 결정됩니다.
이번 11월 CPI는 연간 베이스로 7.3%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달에 7.7%가 나왔으니 그 밑으로 들 대부분 예상하고 있는 겁니다.
중국은 확실히 코로나 통제와 관련된 각종 규제들을 줄이고는 있어 보입니다.
그동안 앱을 통해서 통제하던 규정도 없애고 관련 데이터는 전량 삭제하겠다고 합니다.
그런데 고열 등을 호소하면서 병원을 찾는 이들이 통제 해제 전에 비해 15배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코로나 때문인지 아닌지는 알려지고 있지 않습니다.
https://chun1340.tistory.com/247
이젠 실내 마스크 규정도 해제한 우리 나라에서 하루에 약 7만명 정도 나온다고 하니
중국은 이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코로나 환자들이 발생할지가 관건입니다.
이래저래 이번 주는 중요한 한 주가 맞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오늘 의외의 큰 상승장으로 마감되었습니다.
하루 상승한 폭만으로 보면 지난 11월 20일 이후 가장 컸습니다.
다우지수는 1.6%, S&P 500 지수는 1.4%, 나스닥 지수는 1.3% 상승했습니다.
MS 는 오늘 런던 주식 거래소 지분을 인수한다고 공시했습니다.
똑똑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어차피 EU 의회에서 독과점 등으로 두들겨 맞을바에야
같은 유럽 기업 비슷하게 보이면 정상참작이 좀 되지 않겠느냐 는 행보로 보여집니다.
그래서인지 오늘 MS 주가는 2.9% 상승했습니다.
애플은 1.6%, 아마존은 1.6% 상승했지만 테슬라는 6.3% 하락했습니다.
주식 시장도 역시 이번 주가 중요합니다.
미국 달러 인덱스는 오늘 0.2% 상승하면서 105.02 포인트로 마감되었습니다.
중요한 이벤트들이 줄을 서 있으니 다들 조심스러웠을 겁니다.
거래량도 얼마 되지 않았고 대부분 기술적인 거래들이었습니다.
원유 시장은 오늘 큰 폭으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중국 수입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BOA CEO 가 한마디 한 것 같은데
중국 코로나 통제 해제가 시작된 지 며칠이나 되었다고 저런 기대를 하는지…
NYMEX 브렌트유 기준으로 2.9% 상승하면서 배럴 당 $79.29로 마감되었습니다.
지난 주에만 10% 이상 가격이 하락한 시장이 원유 시장입니다.
그것도 중국이 코로나 통제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이 나왔는데도 하락한 겁니다.
기술적으로 OVER SOLD 된 상태에 대한 기술적인 반발 세력입니다.
역시 내일 부터 시작되는 일련의 경제 지표들의 영향이 클 겁니다.
방향을 잡기 위해서는 기다려 보는 것이 상책으로 판단됩니다.
오늘 곡물 시장은 지난 주 후반부와는 다르게 대두, 대두박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대두유, 옥수수,밀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원유 시장과 비슷합니다. OVER-SOLD, OVER-BOUGHT 상황에 대한 기술적인
반발 물량이 꽤나 되었습니다.
역시 선물 시장에서의 가격이 현물 시장을 선도하는 듯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는 있습니다.
대두박 등의 선물 가격은 크게 하락했지만 현물 시장의 가격 동향은 아직은 그리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느닷없이 중국산 대두 생산량이 올해 20.3 백만 톤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발표하는
영향도 일부 있었다고 볼 수는 있습니다만 그리 믿음이 크게 가는 수치들은 아닙니다.
지난 주 금요일에 USDA는 중국의 올해 대두 생산량을 18.5백만 톤으로 추정한 바 있습니다.
갑자기 늘어나는 약 2백만 톤의 대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올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이 수입한 대두는 80.5백만 톤입니다.
이는 2021년 1~11월에 비해서는 약 8.1%가 감소한 수치입니다.
대두, 대두박의 수입 수요 감소는 중국 경제가 침체되어 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자료 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산 대두 생산량이 갑자기 예상보다 크게 늘어나면서 예전처럼
그렇게 많은 대두를 수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지
꼭 경기가 침체되어서 수입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라는 말을 하고 싶은 건 지도 모르겠습니다.
728x90반응형LIST'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은 2023년에 금리를 인하할 계획이 없습니다. (11) 2022.12.15 오늘은 Macro Trading Day... (7) 2022.12.14 미국 달러에 대한 중국 위안화의 도전... (22) 2022.12.10 중국의 코로나 통제는 완화되는데...원유 가격은 급락합니다...왜 그럴까요? (11) 2022.12.09 시진핑 주석은 시위대에 굴복을 했다고 봐야 하나요? (10)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