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환율
-
인플레이션의 끝, 경기 침체의 시작...두려움...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4. 14. 07:17
어제 발표된 미국의 CPI에 이어 오늘 나온 PPI 수치, 실업연금 신청 건수 등도 미국의 경기가 빠르게 식어가고 있는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의 PPI는 전년 3월 대비 2.7% 상승으로 지난 2월의 4.9% 비해 크게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는 지난 2021년 1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실업연금 신청 건수도 예상보다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제는 인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할 시점이 아니라 본격적으로 경기 침체기의 시작을 우려해야 할 상태라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유럽과 중국은 어떤 상태일까요? 상대적인 차이이니 누가 더 안 좋은 가라는 비교는 이 상황에서 맞지는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종합적인 모습들이 반영되는 것이 FX 시장이라는 것을 인지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최근 들어 미국..
-
2023년 2주차의 키워드 : 달러 약세,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분기 실적...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4. 10:46
2023년의 두번째 주간이 끝났습니다. 이번 주간의 KEY WORD 들을 굳이 정리해본다면 ' 미국 달러의 약세 ', ' 중국 수요에 대한 기대감 ' 그리고 지난 ' 4분기 실적 보고 ' 정도일 것 같습니다. 유럽의 주요 국가들이 결국 러시아의 폭압에서 벗어나는 듯 한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세계 경제 회복의 큰 동력이 되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최근 달러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 유로화의 가치 회복이었음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갑작스러운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당황스럽기는 하지만 일단 원유 등 주요 원자재 시장에 큰 상승 동력이 되고 있는 것은 팩트입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중국발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시작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오늘 부터 시작되는 미국 상장 기업들의 지난 분기 실..
-
중국발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가능성...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1. 12. 11:02
미국의 12월 CPI 수치 발표를 하루 앞두고 다들 조심스러운 움직임이었습니다만 이번 주 내내 보인 시장의 방향은 오늘도 유지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들어서면서 1) 이제 앞으로 FED는 금리를 크게 올리지는 못할 것이다 2) 중국이 코로나 통제를 풀었으므로 중국 경제는 빠르게 회복할 것이다 두 가지 perception이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몇 차례 말씀드렸지만 어디까지나 perception 일 뿐입니다. 특히 중국 관련된 기대감은 꽤나 오버 스럽기까지 합니다. 중국은 지금 아무런 문제도 없다 앞으로 더 좋아질 일만 남았다는 식의 이미지 메이킹 작업이 여러 측면에서 진행 중이라는 느낌은 그냥 느낌이겠지요? 미국 주식 시장은 미국의 12월 CPI 발표 하루 전인데도 불구하고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