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경기 침체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듯...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2023. 4. 12. 09:22728x90반응형
중국의 3월 경제 지표들이 발표되었습니다.
코로나 봉쇄만 끝나면 전 세계의 경제 회복을
리드할 것 처럼 시끄러웠던 중국이었는데..
실제 중국의 상황은 꼭 그렇지 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중국의 3월 CPI는 0.7% 로 지난 달보다 0.3% 하락했습니다.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PPI 수치도 부진합니다.
3월 PPI는 지난 달에 비해 2.5% 하락했습니다.
2월에도 1월 대비 1.4% 하락했습니다.
6개월 연속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역시 좋은 상태는 아닙니다.
오늘 미국의 주식 시장은 혼조세로 마감되었습니다.
다우지수는 0.3% 상승했지만 S&P 500 지수는 0.1%
나스닥 지수는 0.4% 하락했습니다.
내일 발표되는 CPI 수치가 시장의 방향에 영향을 크게 주겠지만
일단 예상은 전월 대비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결론입니다.
이렇게 되면 다음 달 초의 FOMC 미팅에서 금리가 다시 올라갈
가능성은 매우 커집니다.
오늘 미국의 주식 시장이 하락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번 금요일부터 금융권을 시작으로 지난 분기의
실적 보고가 시작됩니다.
두고 볼 일입니다.
애플은 0.8%, MS는 2.3%, 아마존은 2.2% 주가가 하락했습니다만
테슬라는 1.2% 상승했습니다.
미국 달러 인덱스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0.3% 하락하면서 102.20 포인트로 마감되었습니다.
유로는 달러 대비 0.4% 상승했습니다.
달러가 확실히 대표 통화로서의 지위를 잃어가면서
비트 코인 등의 가격이 크게 회복했습니다.
어느 덧 $30,000 선을 넘어섰습니다.
달러의 위치를 대체하기는 불가능하겠지만
과도기의 중요한 역할은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유 가격은 오늘 다시 상승세로 시장의 방향이 전환되었습니다.
달러의 하락세 여파도 있었습니다만
OPEC의 2023년 중 추가 감산 계획 가능성이
언급된 영향도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자국 내 문제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탄압으로
방향을 돌리고 있습니다. 점차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입니다.
원유 가격에는 그리 좋지 않은 요인이 될 듯 싶습니다.
NYMEX 브렌트유 기준으로 1.7% 상승하면서 배럴 당 $85.61 로 마감되었습니다.
3월 중순부터 해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확실한 수요가 받쳐주지 않는 현 상태에서
$90 수준을 넘어설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오늘 곡물 시장에서는 USDA의 4월 WASDE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큰 변동은 없었습니다만
전반적으로 곡물 수요 자체가 정체 또는 소폭 감소의 기미가
보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소비 경기의 침체가 곡물 수요에 변화를 줄 가능성이
감지가 되고 있는 겁니다.
아르헨티나의 가뭄 피해가 USDA로부터 다시 컨펌이 되면서
대두, 대두박 등은 가격이 상승했습니다만
옥수수, 원맥 등은 가격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728x90반응형LIST'그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의 끝, 경기 침체의 시작...두려움... (11) 2023.04.14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이제 마무리 단계? (8) 2023.04.13 중국의 대만 포위 군사 훈련과 프랑스 대통령의 변신... (5) 2023.04.11 4월1주차 주간 원자재 시장 동향과 전망 (15) 2023.04.10 짜장면 가격은 올라가는데... (10) 2023.04.09